국민연금은 소득이 있을 때 꾸준히 보험료를 납부했다가 노후에 소득이 없을 때 국가에서 매월 연금을 지급함으로써 생계를 보장하고, 국민생활을 향상하기 위하여 국가에서 시행하는 공적연금제도입니다.
국민연금 예상 수령액은 본인의 소득과 가입 기간, 연금 수급 시작 시기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국민연금 홈페이지에 접속하셔서 본인의 예상 수령액을 조회해 보시기 바랍니다.
국민연금은 모든 만 18세~ 60세 미만 국민이 가입 대상이며, 직장인이든 자영업자든 대부분 자동 가입됩니다. 그럼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국민연금 수령 조건, 나이]
국민연금을 수령하기 위한 조건과 나이를 아래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최소 가입기간: 10년 이상
- 국민연금은 가입 기간이 10년 이상 되어야 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 10년 미만 가입자는 ‘반환일시금’이라는 형태로 일시불 지급됩니다.
(2) 수령 개시 연령: 만 61세부터
- 출생 연도에 따라 다르지만, 기본적으로 만 61세 이상부터 수령 가능합니다.
- 1969년 이후 출생자는 만 65세부터 수령 가능합니다.
출생연도 | 수령 시작 나이 |
1953~56년 | 만 61세 |
1957~60년 | 만 62세 |
1961~64년 | 만 63세 |
1965~68년 | 만 64세 |
1969년 이후 | 만 65세 |
[국민연금 수령액, 얼마나 받을까?]
2024년 기준, 평균 수령액은 약 60만 원대입니다. 하지만 이 금액은 사람마다 다릅니다.
구분 | 예상 수령액 |
가입 기간 10년 | 월 약 30만 원 |
가입 기간 20년 | 월 약 60만~70만 원 |
가입 기간 30년 이상 | 월 약 100만 원 이상 가능 |
※ 물론, 납부 금액이 클수록 수령액도 많아지니 꾸준히 납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국민연금 예상 수령액 조회 방법]
국민연금 수령액은 개인의 가입 기간, 납부 금액, 평균 소득 등에 따라 달라지며, 간단한 조회로 예측할 수 있습니다.
(1)모바일에서 조회 (정부24 앱 또는 국민연금 앱)
- ‘정부24’ 또는 ‘내 곁에 국민연금’ 앱 설치
- 공동인증서(구 공인인증서) 로그인
- ‘연금 예상액 조회’ 메뉴 클릭
- 자동 계산된 예상 연금 수령액 확인
- 앱 사용이 어려우신 분은 ‘국민연금공단 콜센터(1355)’로 문의해도 됩니다.
(2) PC에서 조회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
- [국민연금공단 공식 홈페이지] 접속
- [내 국민연금 알아보기] 선택
- [노령 예상연금액 조회] 선택
- [간편인증] 선택
※ 공동인증서, 금융인증서 등을 통해 인증 가능합니다. 여기서는 카카오톡을 통한 인증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 [민간 인증서] 카카오톡 선택
- [본인 인증 정보 입력] 빨간색 체크된 부분에 정보 입력하기
- 카카오톡으로 인증 후, [인증완료] 선택
- [예상연금액 보기] 선택
9. 본인의 국민연금 예상연금액 확인
국민연금은 무조건 받는 것이 아니라, 조건을 충족해야 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수령액도 사람마다 다르기 때문에, 본인의 상황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지금 바로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나 앱을 통해 내 연금 수령액을 확인해보세요. 당신의 노후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플란트 만 65세 이상 건강 보험 지원 및 신청 방법 (0) | 2025.05.09 |
---|---|
자동차 보험료 절약 꿀팁 – 몰라서 손해 보는 7가지 팁 (0) | 2025.05.08 |